빗물을 이용한 중수도 여과장치 비상급수 시설
- 산간 도서 해안지역의 빗물을 집수, 여과, 저장하여 생활용수로 이용
- 지하둠벙을 만들어 땅 속에 스며드는 빗물을 집수, 여과, 정수하여 생활용수로 이용(음용수사용가능)
- 지표면의 환경 파괴없이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안전한 상수원 확보, 댐 시설 대체효과
-
토사층 지역
- 산간 도서 해안지역의 빗물을 집수, 여과, 저장하여 생활용수로 이용
-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통해 수질이 향상되어 생활용수로 이용 가능
- 지표 유출수를 안정하게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로 사용가능
-
암반층 지역
- 공공건물, 일반건물, 군부대훈련장, 체육관, 박물관, 학교, 건물 및 도로, 공원등에 설치하여 비점오염 물질을 저감 및 저장하여 생활용수로 활용
- 취수조, 침전여과조, 정수조로 이루어져있으며, 원수및취수조에 빗물 유입관을 설치하여 빗물을 수집하여 유입
- 저장조에 저장한 물은 생활용수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상수도 사용량을 절약 할 수 있음
- 기존 수원지 물 사용 절약으로 가뭄대비 수원 확보 가능
컨테이너형 빗물 정화장치
구분 | 용도 | 설치지역 | 개소 |
---|---|---|---|
계속수 & 빗물 & 이용시설 |
계곡수비점오염 저감장치 |
전남 곡성군 석곡면 월계마을 외 | 전국 1500 개소 |
강원도 태백시 남면 용수리 외 | |||
충청북도 단양군 벌천리 벌천마을 외 | |||
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창락리 곰수골 지구 외 | |||
경상남도 합천군 봉산 압곡2구 외 | |||
빗물저창탱크 | 전남 고흥군 수락도,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외 | 전국 50개소 | |
빗물비점오염저감 & 정화조처리수 화장실물 재이용시설 |
51사단
경기도 화성시
|
전국 40개소 | |
6사단
강원도 철원군
|
|||
28사단
경기도 양주시
|
|||
수도기계화사단 외
경기도 가평군
|